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모니터 화면 짤림, 서보 드라이버

by ☆★☆★☆☆★☆ 2020. 7. 3.

모니터 화면 짤림


이번엔 PC 모니터 화면에 문제가 있네요. PC는 정상적으로 켜지고 있으나, 모니터 화면 짤림 증상이 있습니다. 각각의 프로그램이 정상적이지 않은 증상이 지속 발생되어지고 있었습니다. 모니터 화면 짤림과 깜빡거리는 증상이 있네요. 이상 증상이 계속 발생되어지고 있어 그래픽카드의 교체가 필요해 보입니다. 기존에 설치되어져 있던 그래픽 카드를 취출하여 신규 그래픽 카드를 PC의 PCI slot에 삽입하여 고정해줍니다. RGB Cable을 결속한뒤 PC를 부팅하여줍니다. 혹시라도 귀찮으셔도 본체 전원은 필히 OFF해주시고 교체를 진행해야 해주셔야 합니다. 그런 다음 해당 그래픽 카드를 정상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드라이버의 설치가 필요합니다. 인터넷에 연결되어 있으면 문제가 될게 없지만 해당 PC에는 인터넷에 연결이 되어 있지 않다보니 어쩔 수 없이 드라이브를 잡기 위해서는 USB나 ODD를 이용하여 드라이버의 설치가 필요합니다. 물론 요즘 PC에는 ODD가 거의~ 존재하지 않습니다. USB의 가시적인 성능 개선으로 인해 ODD는 이제 고대의 유물로 생각됩니다. 옛날 5.25인치 디스크가 생각나네요.  PC 작업용으로 구매해놓은 외장형 ODD를 연결하여 그래픽카드의 드라이버를 설치 진행합니다. 설치드라이버는 PC Windows version과 동일한 Window 10 64-bit 를 선택해줍니다. 동의 및 계속(A)를 클릭해줍니다. 설치옵션이 기본 빠른설치로 되어져 있으니 사용자 정의 설치(C)(고급)을 선택한뒤 다음을 클릭합니다. 




사용자 정의 설치 옵션창이 열리고 모든 옵션이 선택되어져 있음을 확인할수 있습니다. 기본 그래픽드라이버만 설치예정이므로 모든 항목 체크해제 진행한뒤 다음을 클릭합니다. 설치 진행중입니다. 설치 진행중 추가 실행을 묻는 창이 종종 나타나기도 하는데 계속을 클릭하여 설치를 진행하시면 됩니다. 작업이 완료되어졌습니다. 지금 다시 시작(R)을 클릭하여 PC를 재부팅해줍니다. PC가 정상적으로 부팅되어지고 난 뒤에 VGA Driver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어졌는지 확인진행합니다. 내 컴퓨터 아이콘을 우클릭하여 관리 항목으로 진입합니다. 컴퓨터 관리 항목에서 장치관리자를 선택한뒤 우측 화면에서 디스플레이 어댑터 항목을 클릭해보면 설치한 드라이버를 확인할수 있습니다. NVIDIA GeForce GT 1050 모델이 설치되어져 있음이 확인되어집니다. 설치한 VGA Card와 동일하게 설치되어짐이 확인되어집니다. 이제는 필요없는 기존에 설치되어져 있던 VGA Driver를 삭제 해줍니다. 삭제하지 않을경우 Driver간 충돌이 발생되어질수도 있으니 필히 삭제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컴퓨터 좌측 하단의 시작아이콘을 눌러 제어판으로 진입합니다. 프로그램 추가/제거 항목으로 진입합니다. AMD Catalyst Install Manager를 클릭한뒤 변경을 클릭하여 삭제 진행해줍니다. 추가 창이 팝업되어지면 모든 항목 삭제를 체크한뒤 다음을 클릭해줍니다. 모든 항목을 삭제 진행하겠냐는 확인창이 뜹니다. 모두 삭제를 진행할것이므로 제거(R)를 클릭해줍니다. 이렇게 해서 모니터 화면 짤림으로 인한 문제를 해결해 봤습니다. 



서보드라이버 


오늘도 역시나 예상 되었던 험난한 하루를 보냈습니다. 늘상 험난한 하루입니다. 매번 발생하는 상황들이 반복적인 경우도 있습니다만, 전혀 예상치 못한 상황들이 골머리를 아프게 합니다. 금일 발생한 Laser 설비의 우측 앞쪽 테이블의 동작 상태가 불량해 보입니다. 우측 앞쪽 테이블의 이동중에 발생한 증상으로 scan 방향으로 이동하여 그 위치에서 정지되는 증상이 발생되어 졌습니다. 케이블베어 내의 단선이 발생했을 수도 있어 보이지만, 우선 설비의 뒷쪽에 위치한 서보 드라이버를 확인해 봅니다. 에러가 발생되어져 있네요. 해당 코드를 확인해보니 다행히 케이블베어내의 단선은 아닌게 확실해 보입니다. 앞쪽 테이블 LM블럭과 가이드의 이물로 인해 이동시 부하 발생으로 알람 발생되어진것으로 여겨지므로 확인을 위해 서보 드라이버 차단기를 OFF 진행합니다. 전원이 차단되어진 상태로 우측 앞쪽 테이블을 수동으로 이동해보니 동작상태가 좋지 못한듯 해보입니다. 부하의 심각함이 확인되어지네요. 움직이질 않네요. 알람이 안생기는게 이상할 정도로 움직일 수 가 없네요. 우선 테이블의 LM블럭과 가이드의 윤활 작업을 위해 가이드 커버를 분리를 진행해 봅니다. 양쪽 모두 동일하게 볼트를 풀어내셔야 합니다. 안전 커버를 분리한 뒤에 LM블럭의 파손상태를 먼저 확인해 주시고, 파손이 없다면 LM가이드와 LM블럭의 양쪽 전체에 윤활을 진행합니다. 윤활 완료 후 손으로 테이블을 끝에서 끝까지 밀어 LM블럭 내부까지 윤활이 되어지도록 반복 진행합니다. 어느정도 윤활이 되어 부하없이 테이블이 이동이 되어지면 LM가이드의 이물을 모두 닦아줍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2~3회 반복하여 이물을 제거 진행합니다. 모든 작업이 완료되어지면 안전커버를 분해역순으로 조립 진행합니다. OFF 시켰던 차단기를 ON 시켜줍니다. 서보 드라이버의 상태를 확인해보니 정상 확인되어집니다. 설비의 초기 원점을 잡기 위해 SET키를 눌러 장비 초기화를 진행합니다. 정상적으로 원점복귀가 진행되어 졌습니다. MMI 프로그램도 작업 준비가 완료되어졌습니다. 이제 우측 앞쪽테이블의 부하 상태를 더 확인하기 위해 tenkey를 이용하여 수동으로 동작을 진행해 봅시다. 



댓글